home 연합소식
GPGF 2025
HOME   연합소식 GPGF 2025
GPGF 2025
 
로그인회원가입사이트맵이메일
 



 프로그램

구분컨퍼런스 프로그램강연시놉시스사전문의
강사이력
1일차 4월22일(화요일)
10:30
~12:00
(1) Virginia Tech (Drew Wang, Department of
      Biological Systems Eng.) “Turning Food
      Waste into Bioplastics for Carbon Neutrali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 Dual
      Approach to Tackling Food Waste and Plastic
      Pollution”


Associate Professor Research: Bioenergy/bioproduct; water/wastewater treatment; nutrient removal/recovery; upscaled bioprocessing 2024-present-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Biological Systems Engineering, Virginia Tech 2015-2024-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Virginia Tech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음식물 쓰레기와 플라스틱 오염은 환경 지속가능성과 탄소 중립 달성에 중대한 도전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미국에서는 전체 식량의 약 40%가 낭비되고 있으며, 이는 온실가스 배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한편, 연간 3억 5천만 톤 이상의 석유 기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 중 상당량이 매립되거나 해양으로 유입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 접근법을 소개한다.
바로 음식물 쓰레기를 생분해성 플라스틱(PHA, Polyhydroxyalkanoates)으로 전환하는 기술. 이 기술은 버지니아텍과 파트너 기관의 다학제 팀이 개발한 모듈형 바이오프로세싱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파일럿 규모의 시스템에는 정지형 혐기성 소화, 특수 미생물 발효, 지속 가능한 바이오제조 기술이 통합되어 경질 및 연질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생산이 모두 가능하다.
이 공정은 염분이 높은 저비용 음식물 쓰레기를 원료로 활용하여 오염 위험을 제거하고 생산 비용을 낮추는 장점을 갖고 있다. 예비 기술경제 분석 및 생애주기 평가 결과, 경쟁력 있는 가격과 현저히 낮은 탄소 배출량이 확인되었다.
이 기술은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으로 발생하는 메탄 배출을 줄이는 동시에, 석유 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하고 경제적인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순환경제 실현과 탄소 중립 포장재로의 전환에 기여할 수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기술 개요, 파일럿 결과, 환경적 효과, 상용화 가능성 등을 공유하며, 폐기물을 활용한 바이오플라스틱 혁신이 식품 및 포장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2) 그린플라스틱연합 (황정준 총장), 탄소중립 소재,
      자원순환 기술의  사회적 탄소저장 역할


현) 2021~현재 그린플라스틱연합 사무총장
구) SK케미칼 화학연구소 R&D G/L
SK Eurochem, 유럽 SKYPET생산 품질 검증 책임연구원
13:00
~13:50
(3) Nature Works(Mariagiovanna Vetere, Vice
      President), NatureWorks Ingeo biopolymer -
      innovation in carbon circularity


Vice President, Sustainability and Public Affairs
(4) 고양시정연구원(임지열 센터장, 탄소중립지원센터),
      도시의 탄소중립을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 필요성
13:50
~14:10
그린 피플 회원사 협력 프로젝트 소개, 승화피앤피 (최서영 대표)
(승화 with 에버켐텍, 바이오기반 고기능 코팅필름 포장 개발 사례 )
14:10
~15:00
(5) 대상 T&C (임현진 대표), 액상중합 기술을 통한 물리적
      재활용 PET의 재생품질을 향상시키는 설비 기술
- I.V 값의 생산중 실시간 조정(real-time I.V control)
- 유해물질 제거율 향상 (EFSA 설비 인증)
- 품질의 균질성 (Homogeneity)
- 단일-연속 공정을 통한 에너지 절감
(6) 한국포장재 재활용사업 공제조합(김동진 이사장),
      한국의 포장재 EPR현황과 성과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이사장
구)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
• 한국 포장재 EPR 현황 및 이행구조: 법령, 품목, 운영주체,
   이해관계자, 재정 등
• 한국 포장재 EPR 도입 성과: 재활용률, 환경개선,
   경제효과 등
• 포장재 EPR 발전을 위한 과제: 품목,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 재활용 목표 등
15:20
~16:10
(7) 에버켐텍, (윤찬석 연구소장), 천연물 기반 식품
      포장재용 산소차단 코팅 소재의 개발 현황 및 미래
      가능성


에버켐텍 연구소장,
구) 독일 프라운호퍼 IVV 연구소 연구원, CJ제일제당 _ 포장개발팀장, 한국식품산업진흥원 _ 연구개발부장
(8) Sustainable Packaging solutions _ Circular
      Design, 프라운호퍼 연구소 (Dr. Esra Kücükpinar-
      Niarchos)
1일차 4월22일(화요일)
10:30
~12:00
(1) 한국환경연구원 (이소라 실장),  순환경제와 기후위기:
     재생 플라스틱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전략


범부처 2035 NDC 공동 기술작업반 위원,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단 위원, 대한민국 친환경패키징 포럼 부회장, 환경부 제8기, 제9기, 제10기 중앙환경정책위원회 위원, 환경부 환경정책연구심의위원회 위원
플라스틱은 원료 채굴부터 생산, 사용, 폐기까지 전 가치사슬에 걸쳐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2040년엔 전 세계 배출량의 최대 1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생산단계에서만 94%가 배출된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재생원료 확대, 저탄소 설계, 재활용 기술 강화 등 가치사슬 전반의 감축 전략이 시급하다.플라스틱 재활용은 기후위기 시대의 핵심 해결책이자 미래 자원이 될 것이다. 
(2) SK케미칼 (김한석 연구소장) SK Chemicals’ 
      Technology for PET Recycling


SK케미칼 화학연구소장,  전 공정개발 연구실장
(3) FITI 시험연구원 (구현진 본부장) 미세플라스틱 글로벌
      규제 대응을 위한 국제표준화 동향


FITI시험연구원 지속가능인증본부 본부장
산업통상자원부 기술규제위원회 위원(2019~2023)
사실상국제표준화포럼 운영위원(2023~현재)
ISO TMB 대응위원회 위원(2023~현재)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규제가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에 포함되면서, 2025년부터는 마이크로플라스틱 및 그 유발 소재·제품의 시장 진입이 단계적으로 제한될 예정이며, 2040년까지 미세플라스틱오염 5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제표준화기구(ISO), 유럽표준위원회(CEN), ASTM 등 주요 국제 및 민간 표준화 단체의 관련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발생 원인 별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정성 및 정량 시험 방법의 국제표준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표준 개발 및 규제 준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은 국제 규제 및 표준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제품 설계·소재 선택·시험평가 체계 등을 전반적으로 점검하여 사전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13:20
~14:20
(4) 한국저영향 개발협회 (최경영 회장) 폐플라스틱 재활용
      토목 옹벽블록 개발


한국저영향개발협회 (전 한국빗물협회) 회장, 용인시 도시계획위원회위원 아주대 공공정책대학원 겸임교수, 경기도/세종시 도시계획심의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중기벤처 전문위원, 비단강살리기운동본부 공동대표, 부산대 녹색국토물관리연구소연구귀원
기후위기와 더불어 폐플라스틱의 문제는 인류와 생태계에 가장 큰 위협으로 다가왔다. 플라스틱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생산과 소비를 줄이자는 것만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인가? 플라스틱 폐기물을 가치 있는 원재료로 바꾸고 이를 이용하여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 낸다면, 그리고 기존에 쓰이던 콘크리트나 철근 콘크리트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더 좋은 물성으로 기후위기 극복에 사용되는 재료를 만들어 내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 강연을 통하여 폐플라스틱 문제의 근원적 해결책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5) CJ 제일제당 (윤기철 어플리케이션 Tech센터장),
      해양생분해 소재 PHA의 용도 개발 및 상용화 사례


현) CJ 제일제당 Biomaterial 본부, Application Tech 센터장
구) 동원시스템즈 수지사업본부장 겸 연구소장, 롯데 알미늄 신규사업팀장, 롯데(구 삼성)정밀화학 개발팀장, SKC 개발과장
CJ제일제당 바이오 부문에서 신규 사업으로 개발하고 생산 판매하는 PHA(Poly Hydroxy Alkanoate)의 환경 친화적인 생분해 고분자로서의 상징적 의미와 마케팅 소구점등을 확인하고 PHA를 이용한 용도 개발 사례를 소개하는 구성으로, 특히 해양생분해 가능한 품목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상업적 성과 관련한    최근 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14:30
~15:20
(6) 대주KC (김남일 소장), 다층공압출 동시이축연신
      필름기술을 이용한 친환경 필름개발



KC기술연구소장
구) SKC필름연구소 수석연구원
다층 동시 이축 연신 공정을 이용한 PVdC-free 및 PE와 Recycle이 가능한 Mono-material용 기체차단성 친환경 포장용 필름 
(7) 리플라 (서동은 CEO), 고순도 단일재질 PP 생산을 위한
      선택적 플라스틱 재질 및 첨가제 제거(미생물 분해)
15:40
~16:20
(8) 동성케미컬 (박용대 부장), 바이오기반 소재의 용도개발
      및 시장전망


동성 케미컬 영업부장
탄소중립&순환경제 구축을 위한 바이오기반 소재의 기술동향, 용도개발 사례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체제 조기구축을 위한 다양한 방안 제시
(9) 에코디언 (임유나 대표), 온실가스 감축 및 자원 순환
      관련 국내외 및 GPA 인증 안내


그린플라스틱연합 인증자문위원 위원장
ISO9001, ISO14001, ISO45001 국제심사원, ITS인증기관 ESG 심사원
해외 친환경인증 컨설팅
바이오·재활용 소재의 적용 확대에 따라 요구되는 국내외 탄소중립 및 자원순환 관련 인증 동향을 소개.
실질적인 인증 획득 전략과 검토 포인트, 그리고 GPA 인증을 포함한 최신 제도의 실무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 예정